ex. 2500에 사서 2800에 팔아서 300남기기.
하나당 단가가 1000~5000+ 되는 시장에서는 이 장사가 의미있긴하겠군
또 그러한 단가를 가진 시장이 어디있지? 시계? 가구? 취미? 미술? 술?
생각해보니 부동산도 똑같긴하네 1억 8천에 사서 2억에 팔고
장사와 사업의 차이는, 위와같이 물건인지, unit economy가 붙는지, 정도의 차이 아닐까?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84
유닛 이코노믹스 (Unit Economics Analysis)
주로 '스타트업'이라고 불리는 신생기업의 특징, 특성에 대해 흔히 '빠른 성장'을 꼽는다. Y-Combinator 창업자 Paul Graham은 자신의 블로그에 'Startup = Growth'라는 제목의 글에서 스타트업은 빠르게 성
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
https://lumosbusiness.com/business-modelling-arpu-cac-ltv/
Business Modelling – ARPU, CAC, LTV – Business Models, Analytics, New Tech
‘Business Modelling’ is a somewhat ambiguous term that could be framed in several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ge of business you are modelling. Here we look at Unit Economics from a strategy perspective, with real data from Farfetch to
lumosbusiness.com
'3개 > 자본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의 달콤함, 노동낭비 노동소득 노동투자 (0) | 2022.06.05 |
---|---|
자산의 정의 (0) | 2022.06.05 |
***영업망*** + 진입장벽 (0) | 2022.06.03 |
글쎄 (0) | 2022.06.02 |
금리인상기 스타트업의 운명과 사회적 영향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