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티프&인사이트/Layer1 관찰&수집

허준이 교수

무말랭이 2022. 7. 9. 18:57

허준이 교수 인터뷰와 기사를 여러 건 읽었다. 아래의 지점을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다.

1. 현대 수학은 팀워크. 공동 연구이다. 공동 연구라서 오래 가고 멀리 가고 깊이 간다.

2. 외곬로 파고드는 식으로는 난제를 풀지 못한다. 인접 분야를 넘나들면서 방법론을 차용하고 확장하고 연결하면서 도약한다.

3. 의도적인 우연, 혹은 랜덤 커넥션이 중요하다. 일단 패턴을 익히고 인풋을 계속 더하다보면 어느 순간에 새로운 논리를 만나게 된다. 수학은 엄격한 규칙인 동시에 자유롭다. 일단 축적한 뒤에 도약한다. 축적없는 우연은 없다. 얼마나 빨리 축적하냐와 얼마나 자유롭게 틀을 벗어나느냐가 같이 간다. 둘 다 필요하다.

4. 이걸 하려면 일상의 균형이 중요하다. 골방 철학자 없듯 골방 수학자도 없다. 지지치 않으려면 요리, 육아, 충분한 수면, 운동이 필수다. 빨리 축적하거나 새로운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새벽 몇 시간의 집중 공부가 필요하다. 낮에는 동료들과 함께 토론하거나 강의한다. 이때가 랜덤 커넥션이 시작되는 지점. 하지만 반짝하는 발상이 흐르는 물처럼 사라지지 않고, 논문으로 박히는 성과가 되려면 새벽 몇 시간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5. 그 일상을 함께 만드는 가족에게 감사하고, 다른 가족에게도 마찬가지의 기회와 시간을 주려고 노력해야 성숙한 사람이다.

6. 장기적인 큰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 공동 연구이므로. 단거리 스프린트만으로는 사고의 도약이 일어날 수 없으므로.

7. 공동 연구자인 동료는 내 일을, 혹은 덜 중요한 일을 대신해주거나 나눠 해주는 사람, 또는 단거리 경주의 경쟁자가 아니라, 내가 몸 담은 영역을 풍성하게 해주는 사람이다. 생태계를 함께 만들면서 같이 성장하게 된다. 한 생태계의 성원으로 환대 받고 기여하는 것은 어떤 일을 계속 해나가는 힘의 원천이다.

8. 문제가 도저히 안 풀릴 때는 포기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팀의 리더는 전력 질주를 할 문제와 시간을 두고 풀어야 할 문제를 잘 구별해야 한다. 장기 과제를 단기에 들이 밀면 팀이 지친다. 쪼개기, 혹은 내려놓기는 중요한 능력이다.

9. 단기 성과도 중요하다. 단기 생산성은 팀의 사기를 좌우한다. 세상이 아직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은 큰 아이디어만 붙잡고 있는 것은 팀에 생산적이지 않다. 단기 성과를 내면서 시기를 기다렸다가 때가 올때마다 다시 꺼낸다. 다 태우지 않고 버텨서, 존버 끝에 새로운 경지를 연다.

10. 새로운 경지를 열고 나서는? 일과를 지키며 하던 일을 계속 한다.

허준이 교수 인터뷰를 보니 한국에서 학창 시절을 보내는 동안에도 궁리하고 탐구할 시간, 주말이면 가족이 함께 산책하는 규칙적 일과, 무엇보다 정서적 안정을 준 부모님에게 감사한다는 얘기를 한다. 본인이 누린 계급적 혜택을 알고 있는듯.

공동 연구팀의 성원 한명 한명의 이름 부르며 함께 이룬 성취임을 강조한다.

우뚝한 개인의 성취가 어디에 바탕하고 있는지, 그래서 또 다른 허준이를 기다리는 사회는 이제 무엇을 해야 할지 질문하게 하는 대목.  

---------------
Q. 수학자라고 하면 혼자 열심히 문제를 푸는 모습이 그려진다. 수학자들도 공동 연구를 많이 하나.

A. 당연하다. 내가 최근에 쓴 논문은 모두 공동 논문이다. 제 모든 연구 결과들은 뛰어난 동료들이 있었기 때문에 얻을 수 있었다. 어떤 때는 제가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잠시 머물다가는 그릇 같다. 생각이 이 그릇에서 저 그릇으로 옮겨 다니며 점차 풍성해지는 것이 신기하다. 마음이 맑은 날에는 제가 거대한 구조의 아주 작은 일부라는 것이 잘 느껴진다. 공동연구가 훨씬 더 멀리 갈 수 있고 훨씬 더 깊이 갈 수 있다.

Q. 도전한 문제가 안 풀려서 괴로워하는 수학자들이 많다. 문제가 안 풀리면 어떻게 하나.

A. 나는 문제가 안 풀리면 포기한다. 일종의 직관인데, ‘내가 이걸 조금 노력하면 몇 달 안에 풀겠다, 아니다’처럼 판단이 필요하다. 잘 포기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재능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종류의 문제들은 개인이 이해할 준비가 안 됐거나, 인류가 이해할 준비가 안 된 걸 수도 있다. 그걸 붙잡고 있는 것은 생산적이지 않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5179&fbclid=IwAR3nW1gQMRHcyFc1si0JIhKoQ_upfNDexr_CVa5iyLa4Kl7zQZqg_1vTprM&fs=e&s=cl

'모티프&인사이트 > Layer1 관찰&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더 = 크리에이터  (0) 2022.07.10
타입드의 어그레시브  (0) 2022.07.10
3년연속 영업이익  (0) 2022.07.09
asml  (0) 2022.07.09
더본코리아 디자인  (0) 2022.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