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 시니어 레지던스 https://www.chosun.com/economy/market_trend/2022/04/21/WX4LOHSCNZEP7CPHNAUYD7BP4Y/?utm_source=facebook&utm_medium=share&utm_campaign=news&fbclid=IwAR1JikWIctU9o8MedhogHt2yCiKD2iFGx4GhGuRHG57HHbn6bjBNbEb8tKI 모티프&인사이트/Layer3 추려낸것 2022.04.24
그림의 sync 오늘의 메모. 극단적인 표현을 섞어, . 스타트업에서 오너쉽이 없는 사람은 없다. 다만 각자 어디까지 고민하고 행동해도 되는지 명문화가 되어있지 않을 뿐. . 스타트업에서 아이디어가 없는 사람은 없다. 다만 어디까지 혼자 구체화해야하는지 스스로 한계점을 그을 뿐. . 스타트업에서 프리라이딩 하고싶은 사람은 없다. 다만 내가 어디까지 할 수 있는 사람인지 메타 인지가 부족할 뿐. . 스타트업에서 목표가 없는 사람은 없다. 다만 목표를 잘게 쪼개 시스템화하는 사람이 드물 뿐. 승부는, 얼마나 큰 그림을 얼마나 깊게 고민하느냐, 큰 파이를 얼마나 잘게 쪼개 시스템화 할 수 있나, 조직원들 모두 큰 그림에서 디테일까지 얼마나 똑같은 꿈을 그리고있나에 달렸다. 적극적 생각/중요한 것 2022.04.24
퇴사예방미팅법 퇴사 예방 미팅법-- 1. 리더의 가장 큰 스트레스 중 하나는 "직원 퇴사"이다. 특히, 평소 잘해주고 신뢰도 있었던 직원이 갑자기 퇴사한다고 하면 더더욱 스트레스를 받을수 밖에 없다. 사실, 나도 과거에 퇴사 미팅을 종종했는데 마음을 굳힌 직원들을 잡는 것은 쉽지 않았다. 2. 오늘 페북을 보다보니 한 페친이 HBR에서 퇴사를 예방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아티클을 링크하기에 읽어보았다(원문 링크는 페친들의 댓글에 있음). 내용이 좋아 요약해본다. 3. gallup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자발적으로 퇴사하는 직원의 52%는 관리자나 조직이 퇴사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사전에 취하면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모든 사람을 머물게 할 수는 없지만 시간을 내어 평소 주기적 미팅을 통해 유지율을 높일.. 사업 모티프2/팀&조직&사람&문화 2022.04.24
몰두센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today/article/6361709_35752.html?utm_source=bambu&utm_medium=social&utm_campaign=advocacy&blaid=2913172&fbclid=IwAR2-TTucvFvuzMRqZxlgdxDaFFkyQ2tNeuWVeX91L0G8ddeTQpOWfZ_TKQk [재택플러스] 네이버·카카오보다 '몰·두·센'? 요즘 젊은 층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 중의 하나가 'IT 개발자'죠. 이들이 꼽는 최고의 직장으로 네이버·카카오·쿠팡 같은 곳이 꼽혔는데, 최근 이른바 이 '신의 직장'... imnews.imbc.com 모티프&인사이트/Layer1 관찰&수집 2022.04.24
관점의 선택 창업하고 10년이 지나서 깨우친게 무엇이냐면 나만의 관점으로 삶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는 것이다. 자본과 수익에 대한 관점 함께 일하는 사람에 대한 관점 이해관계자와 협력에 대한 관점 제일 중요한 건.. 나와 우리 가족에 대한 책임의 관점 여기까지 이해하는데 몇십억을 까먹고, 10년이 지났다. 요즘 MZ분들은 30살 전에도 깨닫던데..다만 인생을 걸고 도전할 실행력이 없을 뿐.. 적극적 생각/중요한 것 2022.04.24
미래트렌드 예측 미래 트렌드 예측에 대한 10가지 생각 1. 레딧에서 얘기되는 주제라면 여전히 이른 시점이겠지만 링크드인에서 얘기되고 있다면 확실히 늦었다고 봐야한다. 2. 너가 25세 이후 새로운 트렌드를 처음 딱보고 드는 생각은 아마 틀릴 가능성이 높다. 3. 미디어가 어떤 사람/주제를 띄워주고 있다면 조만간 추락시킬거란 뜻. 4. 누군가 니가 하는 일을 비웃는다는게 니가 뭘 잘하고 있단 증거는 아님. 근데 아무도 널 안 비웃는다? 그건 확실히 잘못하고 있는 것. 5. 지금 핫이슈라는 건 보통 트위터나 레딧, 4chan에선 최소 반년에서 1년 전에 이미 얘기됐던 주제. 6. 미래는 모든 곳에 동시에 똑같이 오지 않음. 뱅기타고 6시간만가도 6년은 앞서갈 수 있다. 사는 곳을 바꾸기 어렵다면 온라인 상에서 사는 곳이라.. 모티프&인사이트/Layer1 관찰&수집 2022.04.24
우경화 젊은 세대의 우경화는 사실 교육 경쟁 완화를 통해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것과, 인터넷 커뮤니티 내 혐오표현과 대상에 대한 자정작용, 그리고 부모+노인 세대 대상 합리적 사고/판단교육으로 개선할 수 있는 문제로 생각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사실상 대한민국의 보육은 조부모 세대가 담당하고 있으며 어느 TV채널이 항상 집에 틀어져 있는지, 은퇴하신 분들이 맨날 누굴 욕하는게 그들의 엔터테인먼트인지, 젊은 친구들이 노는 온라인 놀이터에 얼마나 이를 통해 배운 놀잇감, 혐오 대상으로 소비되고 있는지,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무엇이 문제인지 충분히 바라볼 수 있으나, 꼭 그렇게 똑똑하신 양반들이 멍청하게 대응하다가 fxxking lose해 봐야 정신을 차리는 것 같다. 문제는 이런 현상.. 모티프&인사이트/Layer1 관찰&수집 202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