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6

[김지수의 인터스텔라]“탁월함은 완벽함 아냐... 공감, 성실 등 정서 저력이 핵심”

https://biz.chosun.com/notice/interstellar/2022/04/02/W5C5QTGGSFC2ROESSO7DCPKC5Q/ [김지수의 인터스텔라]“탁월함은 완벽함 아냐... 공감, 성실 등 정서 저력이 핵심” 김지수의 인터스텔라탁월함은 완벽함 아냐... 공감, 성실 등 정서 저력이 핵심 복잡성 시대 탁월한 인간만이 살아남는다 탁월함은 능력 아닌 습관완벽보다 민첩해야 절정은 자제력, 자극과 반응 biz.chosun.com 1. (사람들이 착각하지만) 탁월함은 완벽함이 아니다. 탁월함은, (계속해서) 더 나아지려는 투지와 습관이다. 2. 그렇기에 (과거가 얼마나 완벽했든) 계속할 수 없다면 그건 탁월함이 아니다. 특정 상태가 아니라, 최정상에 가까워지려는 의지를 가지고, 이를 위한 습..

비가역성

#탈중앙화 LOL이 처음 나왔을 때 저는 p2w BM을 가진 회사에 다녔는데요. 당시 게임디렉터 두분은 각각 LOL을 두고 '상도를 어긴 BM'과 '우리 식대로 했다면 매출 10배는 더 냈을 것'이라는 평가를 냈었습니다. 그 후 모두 알다시피 온라인 게임이 가진 BM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와 기대가 완전히 바뀌는데 몇 년이 걸리지 않았고, 페어함이 보장된 게임들은 스포츠화를 이뤄 훨씬 큰 규모의 수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었습니다. 웹3 그게 되겠냐, DAO가 말이 되냐, 중앙화된 주체나 레거시들이 가만있겠냐... 같은 각론은 '현시점' 기준으로 상당 부분 옳은 지적도 많지만 결국 봐야할 건 사람들 마음속에 일어나는 욕구의 변화 + 경험해버린 사람들의 증가 추이 + 그리고 무엇보다 새로운 기술에 매료된..

[슈카] 경제대국 한국, 삶의 만족도 사실상 꼴등

바뀌는 시대에서 어떻게하면 지속가능하게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어릴때 봤었던 어른들의 삶을 생각하면서, 그것이랑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일 것 같다. 오히려, 우리는 우리 윗세대가 한번 모두 실험을 해보아두었기 때문에, 그것을 해킹할 여지는 꽤 있다. 어떻게 보면 '파이어족' 이라는 흐름이 '노동, 자산, 노후, 은퇴' 등 측면에서 많은 것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https://www.youtube.com/watch?v=LInAlSXgE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