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6

국내유저

최근 유니콘들 보면서 드는 생각. 1. 대부분 국내유저 중심이다. => 그만큼 내수시장이 크다는 증거, 한국에서만 잘해도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음 3. 이익으로 가치를 입증한 곳은 두나무정도, 대부분 미래가치에 대한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투자로 벨류 입증 => 큰 비전, 훌륭한 팀, 투자자들과의 신뢰가 중요. 단, 기술상장이나 적자기업 상장이 어려워지면 회수가 어려워질 수도 있을텐데.. --- 한국에서 국내소비자에게만 사랑받아도 충분히 큰 기업될 수 있다는 점, 장기적인 비전을 함께 공유하는 투자자가 기업가치 성장의 동반자라는 점은 과거 대비 좋아진 부분이자 환영할만한 시그널 같네요. 한편 여전히 글로벌, 세계화를 통해 성공한 기업의 탄생이 어렵다는 점(그런 측면에서 하이퍼커넥트, 센드버드 대단), 그..

욕망, 치열함

[욕망의 결이 다르다] 스타트업과 스타트업이 아니 다른 업계와의 차이점을 나열하려면 리스트가 너무 길어질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중 가장 이질적인것을 이야기하지면 저는 욕망을 말하고 싶습니다. 대기업이나 틀이 세워진 곳에서 살면 상당부분 욕망이 제한됩니다. 내가 매일 보는 상사 동료 그리고 임원들이 곧 나의 미래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미래의 모습은 현재와 다르지만 크게 룰이 바뀐 모습은 아니고 많은 경우 판을 뒤집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회사가 가진 비전을 넘어서는 개인의 욕망을 가지기가 어렵습니다. 허무맹랑한 꿈은 동료들에 의해 상사에 의해 비웃음을 사고 억제되기 쉬우니까요 하지만 스타트업계에서는 이제막 창업한 분이 손정의가 되겠다고 해도 비웃지 않습니다. 이게 리스펙일수도 있고 ..

욕심, 중위소득

자기 위치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기란 쉽지 않다. 보통 평균보다 많이 버는 사람은 부족함을 더 크게 느끼고 평균에 못 미치는 사람은 그래도 기본은 한다고 생각한다. 서울에 자가로 사는 대기업 정규직이 서민 타령하는 걸 보는 건 어렵지 않다. 한편으론 소셜미디어 영향 때문인지 억대 연봉을 우습게 여기는 학생들 보는 것도 흔하다. 우리나라 근로자 중위소득은 월평균 250만 원이 안 된다. 이것도 그나마 통계에 잡히는 일자리 기준이고 비정규직 및 임시직 합치면 더 낮을 거다. 학생이나 무직은 말할 것도 없다. 소득세를 내는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의 절반 수준이니 기본 이상 하기가 얼마나 녹록지 않은지 통계가 보여준다. 자기 몫만 제대로 해도 괜찮은 삶이다. 미국인 평균 통장 잔액이 우리 돈으로 500만 원이 안 된..

배민의 단일서비스에서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의 전환

https://techblog.woowahan.com/7835/ 회원시스템 이벤트기반 아키텍처 구축하기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item.name}} 최초의 배달의민족은 하나의 프로젝트로 만들어졌습니다. 배달의민족의 주문수는 J 커브를 그리는 빠른 속도로 성장했고, 주문수가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트래픽 또한 매우 커졌습니 techblog.woowahan.com

[모집] 2022우아한테크캠프 5기

https://techblog.woowahan.com/8154/?fbclid=PAAaYee1kFf-gaK7X0ySvSe1nqhBDrk1E5XHhlPxX4hF4m9G8r6COQDWLuwo8 [모집] 2022우아한테크캠프 5기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item.name}} 우아한개발자가 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우아한테크캠프 5기 모집이 시작됩니다! 우아한테크캠프는 여름 방학기간을 활용해 진행되는 채용 연계형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교육은 온/오 techblog.woowahan.com 프로젝트 https://baemin-17-mybaemin.herokuapp.com/ 배민 - My배민 baemin-17-mybaemin.herokuapp.com http://woowa.store/main 드림 문방구 | 메인..

대학교/기타 2022.04.20